[곤충] 장수하늘소(long-horned beetle) 천연기념물 제218호,분류,멸종위기등급,수명,서식지,외형,특징

 장수하늘소는 하늘소과에 속하는 곤충입니다.

1980년대 중반 이후 거의 발견되지 않았고, 

2000년대 이후 발견된 것은 2002년에 수컷 한 마리,

2006년, 2014년 여름에 암컷/수컷 한 마리가 채집되었습니다.

제2차 세계대전 전까지 강원도 춘성군 북상면 추전리에서 

4개체나 채집되어 그곳을 장수하늘소의 서식지로서 천연기념물

로 지정, 보호하여 왔으나, 전후 그곳에서는 자취를 감추어버려 

1973년 천연기념물에서 해제하였습니다.

그러나 전후 경기도 광릉의 임업시험장 중부지장 시험림인 

소리봉(蘇利峰)에서 적지 않은 수가 채집되었으며,

강원도 명주군 청학동 소금강에서도 

한 개체가 채집되기도 하였습니다.

특히, 광릉 소리봉의 서나무와 신갈나무숲은 

우리나라의 유일한 집단서식지가 될 것입니다.

장수하늘소와 그의 근연종은 중남미에도 분포되어 있으며,

이것은 지난날 아시아와 중남미대륙의 육속적 관계(陸續的關係)를 

대변해 주는 살아 있는 자료이기도 합니다.
 
학명 Egretta eulophotes 한글 장수하늘소 

영명 long-horned beetle


장수하늘소(long-horned beetle)의 모습(출처-네이버)



분류

  • 계: 동물계
  • 문: 절지동물문
  • 강: 곤충강
  • 목: 딱정벌레목
  • 과: 하늘소과
  • 아과: 톱하늘소아과
  • 속: 장수하늘소속
  • 종: 장수하늘소


멸종위기등급

  • 위기(EN): 멸종가능성 매우 높음
  • 멸종위기Ⅰ급: 현재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음
  • 천연기념물 제218호 (1968년 11월 20일 지정)


수명

장수하늘소 수명은 일반적으로 1년 ~ 3년 정도입니다. 그러나 정확한 수명은 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, 장수하늘소의 발달 단계(알, 유충, 번데기, 성충)에 따라 달라집니다.

  • 알 단계: 보통 며칠에서 몇 주 정도 지속됩니다.
  • 유충 단계: 가장 긴 단계로, 몇 개월에서 몇 년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. 유충은 나무속에서 먹이를 먹고 성장합니다.
  • 번데기 단계: 몇 주에서 몇 달 정도 지속됩니다.
  • 성충 단계: 성충으로서는 몇 주에서 몇 개월 정도 살아갑니다.

장수하늘소는 그 이름처럼 긴 뿔을 가진 독특한 모습으로 알려져 있으며, 특히 유충 단계에서 나무를 갉아먹으며 성장하는 특징이 있습니다. 이 과정에서 나무의 내부를 파괴할 수 있어 산림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곤충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.


서식지

장수하늘소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서식하지만, 주로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발견됩니다:

  • 산림 지역: 장수하늘소의 유충은 나무의 내부를 갉아먹고 자라기 때문에, 이 곤충은 주로 산림 지역에서 서식합니다. 활엽수와 침엽수 모두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.
  • 고목과 썩은 나무: 장수하늘소의 유충은 썩은 나무나 죽은 나무 속에서 잘 자랍니다. 이러한 환경은 유충이 먹이를 쉽게 구할 수 있게 해 줍니다.
  • 농경지 주변: 일부 종은 농경지 주변의 나무나 농작물에서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. 특히 과일나무와 같은 경제적으로 중요한 나무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.
  • 도시 지역: 도심지에서도 오래된 나무나 목재 구조물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. 도시 환경에서도 적응하여 서식할 수 있습니다.
  • 열대 및 아열대 지역: 많은 종의 장수하늘소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며, 특히 다양한 수종이 있는 풍부한 생태계에서 많이 발견됩니다.

각 장수하늘소 종은 특정한 나무 종류나 환경에 더 잘 적응할 수 있으며, 그에 따라 서식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
외형

장수하늘소는 독특한 외형을 가지고 있어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. 

  • 긴 더듬이: 장수하늘소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긴 더듬이입니다. 이 더듬이는 몸길이보다 길 수 있으며, 종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길이를 가집니다.
  • 몸길이: 장수하늘소의 몸길이는 일반적으로 1cm에서 15cm까지 다양합니다. 큰 종은 몸길이가 더 길 수 있습니다.
  • 몸 색깔과 무늬: 장수하늘소는 다양한 색깔과 무늬를 가지고 있습니다. 몸 색깔은 검은색, 갈색, 녹색, 파란색 등 다양하며, 일부 종은 몸에 눈에 띄는 점이나 줄무늬를 가지고 있습니다.
  • 몸 형태: 장수하늘소의 몸은 길쭉하고 납작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. 이 형태는 나무의 틈새나 껍질 아래에 쉽게 숨어들 수 있게 해 줍니다.
  • 딱딱한 외골격: 장수하늘소는 딱딱한 외골격을 가지고 있어 보호 기능을 합니다. 이 외골격은 광택이 있을 수 있으며, 일부 종은 털이나 가시 같은 추가적인 구조물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.
  • 다리: 장수하늘소는 3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, 각 다리는 강하고 튼튼해 나무를 오르내릴 수 있게 해 줍니다.

장수하늘소는 이와 같은 독특한 외형적 특징들 덕분에 다른 곤충들과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특징들은 그들의 생태적 역할과 생활 방식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.


특징

장수하늘소은 독특한 생물학적 및 생태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, 이러한 특징들은 그들이 환경에서 어떻게 살아가고 상호작용하는지를 설명합니다.

  • 긴 더듬이: 장수하늘소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몸길이보다 길거나 비슷한 더듬이입니다. 이 더듬이는 주로 촉각과 후각 기관으로 사용됩니다.
  • 유충의 목재 가해: 장수하늘소의 유충은 나무 내부를 갉아먹으며 자랍니다. 이로 인해 장수하늘소는 목재 해충으로 간주되며, 산림과 목재 구조물에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.
  • 다양한 색상과 무늬: 장수하늘소는 종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가지며, 이는 위장이나 경고 색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강한 턱: 장수하늘소는 강한 턱을 가지고 있어 나무를 갉아먹거나 방어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서식지 적응성: 장수하늘소는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. 주로 산림, 고목, 썩은 나무에서 발견되지만, 도시 지역이나 농경지에서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.
  • 번식: 성충은 나무의 틈새나 껍질 아래에 알을 낳습니다.유충은 나무속에서 자라며, 번데기 과정을거쳐 성충이 됩니다.
  • 수명 주기: 장수하늘소의 수명 주기는 일반적으로 1년에서 3년 정도입니다. 유충 단계가 가장 길며, 몇 개월에서 몇 년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.
  • 생태적 역할: 장수하늘소는 나무를 분해하여 영양분을 재순환시키는 중요한 생태적 역할을 합니다. 그러나 과도한 개체수는 산림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.
  • 크기: 장수하늘소의 크기는 종에 따라 다르지만, 일반적으로 1cm에서 15cm 사이입니다. 큰 종은 성충 상태에서 매우 인상적인 크기를 가질 수 있습니다.





출처 - 네이버 지식백과, 두산백과, 위키백과, 위키피디아 등

다음 이전